다음은 주니어 세계선수권 참가 이전과 이후의 참자가들의 랭킹변화입니다. (출처: FSUniverse.net)

Adelina Sotnikova 19 to 14
Joshi Helgesson 23 STAY
Polina Shelepen 27 STAY
Christina Gao 28 STAY
Risa Shoji 34 to 31
Gerli Liinamae 39 to 35
Zijun Li 40 to 29
Patricia Glescic 43 to 31
Monika Simancikova 48 to 49
Vanessa Lam 60 to 56
Julia Lipnitskaia 67 to 45
Satoko Miyahara 95 to 58
Hae-Jin Kim 99 to 70
Miu Sato 101 to 85
Gracie Gold 129 to 65
Kaetlyn Osmond 139 to 97
Ziquan Zhao 172 to 113
Isadora Williams NONE to 193

김해진 선수는 99위에서 70위로 상승했습니다.


한국선수들 랭킹을 살펴보면

김연아 11
곽민정 60
김해진 70
윤예지 100
김채화 109
박소연 111
이호정 121
김나영 128
서채연 131


참로고 포인트 산정방식
은 3년간 각 시즌의 점수가 가까운 순으로

100/100/70 의 비율로 합산되고.

대회의 위상에 따른 다음의 카테고리에 따라 점수 합산방식이 다릅니다.

1) ISU CHAMPIONSHIPS (Olympics, Worlds, Euros, 4CC, JW)
한해에 가장 높은 포인트를 기록한 1번의 포인트가 기록되며,

3년간 한 선수당 가장 높은 최대 2개의 포인트가 계산됩니다.

2) GP/JGP

한해에 가장 높은 2번의 포인트가 기록되며,

3년간 한 선수당 최대 4개의 포인트가 계산됩니다.


3) 포인트 인정 B급대회

한해에 가장 높은 2번의 포인트가 기록되며,

3년간 한 선수당 최대 4개의 포인트가 계산됩니다.


더 자세한 월드 랭킹은

http://www.isuresults.com/ws/ws/wsladies.htm

참조하세요.


그럼 랭킹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요?


위의 링크를 확인해서 보셨으면 알겠지만,

테니스나 다른 종목의 랭킹과는 달리

피겨 스케이팅 월드 랭킹은 실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합니다.


김연아 선수의 예에서 보듯이

사실 시즌을 쉬는 선수들의 경우에는

랭킹은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김연아 선수의 경우 오히려

지난 시즌은 세계선수권만 참여하고

이번 시즌은 비웠는데도

11위에 있다는 것 자체가 2009-2010년 시즌이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반증하는 거지요.

2009-2010년 시즌은 다른 두 시즌에 비해 비율도 낮게 반영되는데도 말이죠.


34위에 있는 조애니 로셰 역시

바로 복귀하더라도

같은 캐나다인 신시아 파뉴푸(19위), 아멜리아 라코스테 (25위)

보다 실력상으로 뒤질 이유가 없죠. (거의 1년 반만에 시험삼아 뛰어 본 재팬컵에서 우승했듯이)


최상위권 뿐만 아니라 중상위권도 랭킹이 실력을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는

개최국에 의해 독점되는

시니어 그랑프리 참가 기회와 관련된 구조적 문제 때문입니다.


"구조적 문제"라는 것이 대부분 그러하듯,

구조적 문제는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유리하고,

힘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불리합니다.

게다가 인식하기도 쉽지 않고 혹여 인식하더라도 개선하기가 여간해서는 쉽지 않습니다.


그 구조의 틀을 깨고

피겨 변방에서 나타난 김연아 선수의 믿기지 않는 활약과

여기에 대해 피겨 강대국의 집단 이익에 따라

각종 게임룰과 대회 참가 자격을 변경하며 대처해온

ISU의 그동안의 행태를 보면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역설적으로도 ISU는 김연아 선수의 활약을

피겨의 공정성에 대한 증거로 자신들이 편할 때 사용하면서,

뒤로는 그나마 남아있던 최소한의 공정성과 기회의 균등을

더욱 구조적으로 제약하는 방향으로 바꾸었습니다.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가사 들어간 음악의 싱글 및 페어 경기 사용도

저는 이러한 관점에서 보고 있습니다.

최근 여자 싱글과 페어의 중심이 이미 아시아권으로 넘어온 것과

게다가 이번 주니어 월드에서 보듯이 남싱마저 넘어오려 하는 것과 전혀 관계가 없을까요?

표현력이 딸리는 영어권 국가들의 스케이터를 위한 꼼수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최근 인기 있는 오디션 프로그램 K POP 스타에서

결국 재능있었던 외국인 참가자들이 언어의 벽을 넘지 못해

본선에서 하나둘씩 탈락한 것과 

미국교포 참가자들이

"K" POP 스타에서 왜 굳이 가요대신 팝송을 부르려하는지를 생각해 보면 될 것입니다.

노래도 피겨 스케이트도 결국에는 "몸"이 "감정"에 대해 기억하는 퍼포먼스입니다.


(사진 K pop 스타 top 8 진입에 실패한 김나윤, 그리고 뒤로 톱 8에 살아남은 마지막 교포 참가자 박제형)


가사 들어간 음악을 사용하면 영어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간혹 불어들의 유럽권 언어의 음악이 

많이 사용될 것입니다.

왜냐면 심판들이 아는 언어가 그러하니까요.

영어라는 국제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영어권 국가 선수가 유리할 것은 자명합니다.

게다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더라도

유럽어권의 사람들이 영어에 대해 적응하고 느끼는 감각은

동아시아권 언어의 사람들과는 언어 구조상 확연히 차이가 많이 납니다.

토익, 토플의 탄생과 제도의 변경은 사실상 동아시아권 유학생들을 테스트하고 스크리닝 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저는 가사 음악 컴피 사용에 대한 일본 피겨연맹의 입장과 반응이 상당히 궁금합니다.

19세기 이후 "탈아입구"를 외치며 항상 서구 중심부와 아시아의 사이에서

이중적 태도를 보여왔던 그들이 이번에는 또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떠한 논리를 가져다 댈지 자못 기대가 됩니다.


결국, 변방에서 중심으로 들어온 김연아 선수의 모습을 지켜보고,

결과적으로 그러한 일을 사전에 봉쇄하려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꾼 ISU의 행동과 그 이후의 일련의 모습들은

기득권 중심부가 어떻게 구조적 통제와 권력을 사용하는가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로 인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들의 눈에는 피겨 변방인 한국에서 온 조그마한 선수의 피겨사를 뒤엎는 활약은

견고한 시스템이 예상하지 못했던 균열로 비춰졋을 테니까요...

있을수 없는 일 혹은 일어나지 말아야할 일이 일어났던 것입니다.




김연아 선수의 활약은 그들에게 거의 트라우마로 남아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바이러스 퇴치하듯이 시스템의 균열을 찾아내는 데 집착하고 더 보강합니다.


하지만...그러면 그럴수록, 완벽한 구조와 시스템은 있을 수 없습니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구요...


휴~~~다시 그랑프리와 랭킹 이야기로...



하지만 역설적으로도 이 랭킹이 중요한 곳이 있는데

바로 시니어 그랑프리 초대를 받는데 있어서 입니다.

특히 한국처럼 주최국가가 아닌 경우는

주최국 초청권도 없어 더욱 그렇죠...


사실 이번에 아델리나 소트니코바를 꺽고 은메달을 차지하며

미국팬들의 찰랑찰랑 넘치는 관심에

결정적 물한방울을 떨어뜨린

그레이시 골드의 경우


주니어 그랑프리에 1번만 참석했고,

그래서 그 대회에서 우승했음에도

주니어 그랑프리 포인트가 모자라 결국 파이널에 못나갔습니다.


잠간 곁이야기로 그럼 왜 미국 연맹은 이렇게 잘나가게 된

그레이시 골드를 주니어 그랑프리에 한번만 내보냈을까요?


그럴 수 밖에 없는 것이

이번 1월 내셔널 주니어에서 우승한 그레이시 골드는

사실 지난 시즌에는 중서부 예선에서 탈락하며

내셔널 진출조차 실패했었습니다.

그후 이번 시즌 시작전에 열렸던 미국내 경기에서

워낙 좋은 성적을 보여 그나마 1번의 출전권을 줬던 것이죠...


올림픽 및 월드는 무조건 단판승부 내셔널에 의해 좌우되고,

주니어 그랑프리 및 해외 대회 배정에 내셔널 순위가 사용되는 등

내셔널이 미국피겨인들에게 차지하는 위상을 생각해보면,


그레이시 골드의 주니어 그랑프리 1번의 출전은

즉 야박한 게 아니라 사실 거의 특혜를 준 것입니다.

더 나아가 만약 그레이시 골드가 마지막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가 아닌

초반부에 참여해서 1위를 했다면,

다른 선수를 대신하여 한번더 기회를 줬을지도 모릅니다.


그만큼 최근의 미국피겨인들의 그레이시 골드 사랑은

엄청납니다.


다시 이야기를 시니어 그랑프리 참가로 돌아와보자면

그레이시 골드는 주니어 월드에서 은메달을 땄음에도

국제대회 경험이 별로 없어 랭킹은 65위에 불과합니다.


그동안 주니어 월드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나이가 될 경우 그 다음해 시니어 그랑프리 대회에 초청을 했었는데요.


이번에 설령 그레이스 골드가 4위를 차지했더라도
미국 피겨 연맹이 밀어주는 한

다음 시즌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그레이시 골드가 부상이 없다면 참가하는 것은 확실합니다.

주최국가에게 배정되는 3장의 주최권을 미피겨 협회가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주니어 그랑프리는 주니어 월드 성적에 따라

국가마다 장수를 배정받아

해당 연맹에서 선수를 선발하는데 비해


시니어 그랑프리는 그랑프리 주최국을 제외하고는

국적과 관계없이 남는 자리를 ISU가 시니어 세계대회 성적 및

랭킹에 의해 배정합니다.


다시 김해진 선수 이야기로 돌아가자면

만약 김해진 선수가 이번 주니어월드에서

4위를 차지했더라도

시니어 그랑프리에 못다간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이제 시니어 시즌에 들어간

우리 주니어 선수들은 B급 대회 참가등을 통해 랭킹 관리를 할 필요도 있다고 봅니다.


사실 동유럽 쪽의 선수들이 시즌베스트가 그리 좋지 않아도

실력보다 월드 랭킹이 높은 것은

유럽에서 많이 열리는  B급 대회에서 포인트를

쌓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김해진 선수는 이미 그랑프리는 이번 시즌부터 시니어 나이에 해당되었고, 다음 시즌부터는 월드도 시니어 나이가 되었죠

97 하반기 태어난 선수들과 98년 상반기 선수들도 다음시즌부터 시니어 그랑프리에 해당되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다음은 정리해본 시니어 그랑프리 출전 선수 방식입니다. (펼쳐보기 클릭)



그런데 왜 시니어 그랑프리에 참가해야 될까요?


시니어 그랑프리 참가가 중요한 이유는

우선 눈도장을 찍는데 있습니다.

심판들도 사람인지라

자주 보고 익숙한 선수에게 PCS가 좀더 후하겠지요..


그리고 대회경험 자체는

선수에게 있어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자산입니다.


이번 주니어 월드에 참가하면서

해진선수가 얼마나 더 성장했는지

우리가 직접 보고 있으니까요...


그렇지 않아도 심판 판정에 대해 속상한 일이 많은데,

이른바 피겨 강대국 선수들보다 이런저런 사정으로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가 늦어진다면...

그 격차는 더욱더 벌어질 것입니다.


능력이 기회를 부여하는것 같지만 

많은 경우 사실은 기회가 능력을 만든다는 것을 우리는 잘알고 있으니까요.


그래서 더더욱 시니어 그랑프리 참가와 랭킹에 대한 전략적인 생각이 중요할 듯 합니다.


한국에서 최근의 피겨 열기를 바탕으로

포인트를 인정해주는 B급대회를 주최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일 수도 있겠죠....


여하간 랭킹 이야기를 하다가 조금 보충하려고 했는데

쓰기 시작하니 이야기가 길어졌네요...


이런 이야기를 길게 시작하게 된 것은....

책장위에 놓아둔

지난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 (그랑프리 캐나다) 직관 갔을 때 샀던 배지 때문입니다.


김해진선수를 주려고 샀던 것인데,

지난 겨울 잠시 한국에 갔을 때 전달하지 못하고

다시 가지고 이 곳으로 돌아왔습니다.


책장 위에 놓인 그 배지를 볼때마다

그랑프리에서 느꼈던 관중들의 뜨거운 열기가 생각나면서,

한국 남녀 선수들을 조만간 시니어 그랑프리에서 꼭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번 3월말 부터 다음시즌 그랑프리 배정에 중요한
니스에서 벌어지는 시니어 월드에는
김민석, 곽민정, 서채연 선수가 출전합니다.

우리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의 희망, 그리고 우리 피겨 팬들의 희망 곧 이루어지겠죠?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마침내 그 꿈을 닮아간다."

- 앙드레 말로 -

---------------------


ps.


이번에 가사음악 컴피 사용과 관련하여 "욕설없고 깨끗한" 힙합의 사용도 허용하려 한다는

ISU의 발표가 있었다고 합니다.


"욕설없고 깨끗한 힙합"은 "점프, 스핀, 트위즐 없는 피겨 스케이팅"과 같습니다.

ISU의 고귀한 예술적 식견에 대해 깨끗하지 않은 욕설을 바가지로 보냅니다.


"욕설없이 깨끗해햐 할 것"은 힙합이 아니라 바로 당신들 ISU 집행부이기 때문입니다.


순수한 열정으로 자신의 몸을 하루에도 수십번씩 차가운 얼음에 던지는 이 선수들의 노력을 욕되게 하지 마십시오..


지난 3월 4일, 캐나다 국영방송인 CBC는 주니어 월드 여자싱글과 남자싱글을 녹화중계했습니다.
(3월 3일에는 페어와 아댄을 녹화중계 했습니다.)

여자 싱글을 보여주기전 

Big Picture: Legacy of Ladies Skating (전망: 여자싱글의 유산)
이라는 코너가 트레이시 윌슨과 PJ 쾅(Kwong)의 토론과 함께 방송되었는데요.


일단 보시죠...





사실 피겨의 꽃이라고 일컬어지는 여싱에서만
캐나다는 그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자싱글의 마지막 금메달은 48년 생 모리츠 올림픽의
바바라 앤 스콧.
그 후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가 있을 뿐
금메달은 차지하지 못했습니다.

비록 캐나다 남자싱글도 지독한 올림픽 불운으로
아직 까지 금메달이 없지만,

캐나다 남싱 브라이언 오서, 커트 브라우닝, 엘비스 스토이코 등이
월드챔피언의 실력으로 올림픽에서만 유독 불운했던 것과 달리,

(마리포사 스케이팅 클럽의 전설적 코치 더그 리의 뒤로 자신과 자신이 지도한 브라이언 오서, 엘비스 스토이코의 그림이 걸려있다.)

캐나다 여싱의 경우는 최근 30여년 동안 불운이 아니라

실제로 금메달 후보가 부재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1973년 이후 캐나다는 월드 여싱 챔피언이 없습니다.

최근에도 이는 별로 다르지 않습니다.
현 세계챔피언 패트릭 챈, 올림픽 챔피언 테사버츄/스캇 모이어가
남싱과 아댄에서 최강자로 소치를 노리고 있습니다.
페어에서 중국과 러시아에 밀리고 있지만
여싱만큼 대책없이 밀리지는 않습니다.

전통의 피겨강국 캐나다는
유독 여자싱글에서는 이번 월드에서도
탑 10 에 들기 위해 안간힘을 써야할 상황입니다.

왜그럴까요?

그래서 이 클립의 부제는

Searching for Canada's Sweetheart 입니다.


 
번역을 하자면
"애타게 탑랭크 여자싱글을 찾아" 정도 될터인데요

이 클립에서는
캐나다 탑랭크 여싱의 부재 이유로
두가지를 이유들 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설명하겠지만
이 두가지 이유는 묘하게 어긋나면서도 맞물려 있습니다.

첫째,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이른바 남성영역으로 간주되던 운동에 대한
여성들의 선호 증가와
이에 따른 피겨선수 감소입니다.

동네마다 (도시가 아니라) 링크장이 있는 캐나다는
한국에서 어릴 때 야구, 축구, 농구 하듯이
어릴 때 당연히 링크에 갑니다.
전통적으로는 남자아이가 아이스하키 장비를 들고 가고,
여자아이들은 피겨 스케이팅을 했던 것이죠.

최근 20 여년간
아이스하키와 축구가 캐나다 소녀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전통적인 여성의 스포츠였던 피겨스케이팅을 위협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여자등록선수는 아이스하키는 8만명, 축구는 36만명까지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들은 예전 같았으면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등록되었을 것입니다.

실제로 여자 아이스하키 금메달리스트이면서 캐나다의 영웅인 테사 본홈은
아마 옛날 같으면 자기도 피겨 스케이터가 되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친구들이 다 하키하는 마당에 자신도 자연스레 하키를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테사 본홈은 battle of blade라는 피겨 스케이팅 리얼리티쇼에서
남자 피겨 선수와 한 조를 이루어 피겨 스케이팅에 도전, 우승을 차지합니다.


캐나다의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가 떨어진 피겨 인기 부흥을 위해 홍보를 하고 있는 격이죠...
10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도 없는 일입니다.
사실 피겨는 캐나다에서조차 최근 Grandma의 스포츠로 간주되고 있고, 팬들의 나이대도 상당히 높습니다.

두번째, 이유를 들기 전에
영상은 캐나다 선수들의 오래전 황금기와


1948년 생모리츠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바바라 스콧을 환영하는 뉴스릴 문구와 카퍼레이드 장면


최근의 조애니 로셰트를 보여준 후


아시아 스케이터들이 장악하고 있다는 멘트와 함께
김연아의 올림픽 경기 모습과
안도미키와 아사다 마오의 클립을 잠간 보여줍니다.


그리고 현직 코치가 강조합니다.

다른 국가들은 이루고 있는데,
캐나다가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좀더 강인하고 터프해져야 한다"

좀더 강하게 훈련시키고 목표를 향해 나가게 해야한다고 이야기합니다.
많이 듣던 이야기죠?

바로 태릉 선수촌으로 대표되는 엘리트 체육입니다.

드디어, 둘째이유가 나옵니다.
캐나다는 엘리트 시스템과 체계적인 관리와 경쟁이 없다는 것입니다.

영상 클립이 끝난 후
피겨 해설자 트레이시 윌슨과 PJ 쾅이 나와
왜 유독 여싱만 약한가에 대한 의견을 내놓습니다.

트레이시 윌슨은
여싱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성장통 (growth spurt)의 문제를 강조합니다.

여싱은 신체의 성장과 함께 15세 전후하여
그동안 훈련하며 다져왔던
점프등의 스킬이 갑자기 사라져버린다는 것이죠.


그래서 이러한 문제가 정신적인 문제가 아니라
생물학적인 문제라는 점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것에 대처하지 못하면 컴피의 실패와 자신감의 상실의 악순환에 빠진다는 것입니다.

그에 비해 남싱의 경우는 성장통으로 인한 체형변화가 그다지 심하지 않고
결국 기술을 하나하나 천천히 습득해가면서 자신감을 점점 쌓아가기 때문에,
여싱과는 대조적인 성장과정을 거친다고 지적합니다.

그러므로 여싱들이 거치는 이 힘든 성장통을 어떻게 지원해 줄지
고민해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PJ Kwong은 일본의 예를 들고 있습니다.

일본의 선수 육성 시스템의 예를 들면서
각 단계별로 철저한 심사와 경쟁으로 소수의 엘리트 스케이터들에게
지원을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트레이시는 한국과 러시아의 예를 들어
엘리트 스케이터 육성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소치 올림픽에 대비해 체계적으로 소수의 재능있는
스케이터들을 뽑아 관리하고 있다는 것이죠..

트레이시는
물리치료사와 트레이너와 같이 캐나다에서
연습했던 김연아 선수의 예를 들면서
그러한 대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선택하고 집중해야한다는 것이죠.

올림픽 금메달을 얻으려면 그 정도는 투자해야된다는 것이지요.

공산권 붕괴와 함께 같이 붕괴되었다
최근에 푸틴 정부의 대폭적인 지원에 의해 살아난
러시아의 엘리트 체육이야 말할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푸틴의 피겨 스케이팅 링크 방문, 푸틴 옆에 타라소바와 엘레나 보도레조바-부야노바코의 모습이 보인다.


뚝따미세바, 소트니코바 없이도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포디움을 휩쓸은 러시아 주니어 선수들


하지만, 한국에 대해서는 트레이시는 너무 모르거나 토론토에서의 김연아 선수의 훈련여건만
보고 판단하는 것 같습니다.
혹은 캐나다에서 훈련한 몇몇 선수들을 보고 판단한 것 같기도 하구요

한국 선수들의 경우 그러한 투자가 빙상연맹이 아닌
전적으로 개인의 노력과 비용으로 된다는 것은 이해하지 못하거나 혹은 상상하지 못하고 있는 듯 합니다.....-_- ----
한국의 열악한 빙상장 훈련 상황에 대해서도 전혀 짐작도 못하고 있겠죠.


그렇다면...정말 김연아 선수를 시작으로 한 한국 피겨의 성취는 불가사의한 것이겠군요...

여하튼 트레이시 윌슨은 다시 조심스럽게
캐나다는 전통적으로 피겨 스케이팅이 하나의 문화이기 때문에
실력이 어떻든 간에 같이 데려가려고 한다고 하고서는
이러한 문화를 존중하나라고 단서를 달지만

결국 말하고 싶은 것은...트레이시 윌슨과 PJ 쾅 모두

올림픽 금메달을 위해서라면!!!!
이제 실력에 따라 철저히 서바이벌 경쟁을 시키고 지원을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이것은 북미에서 단지 피겨 스케이팅에서만 나오는 이야기만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교육에 관련해서도 일명 아시아계 극성엄마 (Tiger Mom)는 미국에서도 유명합니다.
실제로 여타 인종 중 아시아계의 인구대비 아이비리그 합격은 다른 인종을 압도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여론은 기본적으로 과도한 것 아니야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무한경쟁 시스템에 몰아넣은 후 그러한 시스템에서 살아남는
자녀들에게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아시아계 부모들과
터프한 아시아의 교육 시스템에 대해
한편으로는 부러움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 방식에 대한 논의 그리고 아시아계 이민자들에 대한
북미 주류 언론의 태도에 대해서는
제 개인적으로는 다인종 사회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권력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찬사 뒤에 숨겨진 통제, 비판 뒤에 숨겨진 질시...등등.. 

때문에 타이거 맘과 공교육 사이에서의 논란이 쉽게 결론 내리기 어렵듯이
엘리트 스포츠와 사회체육 사이에서의 선택 역시 쉽지 만은 않을 것입니다.

동네마다 링크가 있고,
주말마다 스케이트를 타고
동네의 스케이팅 클럽에서 동네 주민들이 모여 자녀들의 아이스쇼를
구경하는 피겨 스케이팅 강국 캐나다의 고민...



이번 주니어 월드에서 케틀린 오스먼드에게 모든 관심을 쏟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결국 소치 올림픽 금메달인 것이죠.

캐나다는 이제부터 과연 다른 길을 걸어갈까요?

그리고, 소치와 평창에서 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을까요?


하지만


올림픽 금메달을 따놓고도 내셔널 조차 케이블에서 녹화를 해주는 한국의 방송과

이번 시니어 세계선수권 대회를
자국 개최가 아닌데도
거의 모든 경기를 중계해주는
캐나다 방송을 비교해보면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김연아 선수의 금메달이 소중하면서도
캐나다인들의 피겨 사랑이 부러운 것은 어쩔수 없네요.

3월 4일 민스크에서 막을 내린 세계주니어 월드 마지막날 
갈라쇼 영상입니다.

갈라에는 각 부분 1-5위가 참여했습니다.

 




여자싱글 (Ladies)

1. 율리아 리프니스카야 (Julia Lipnitskaia)




2. 그레이시 골드 (Gracie Gold)



3.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Adelina Sotnikova)




4. 미야하라 사토코 (Satoko MIYAHARA)



 5. 리지준 (Zijun Li)




남자싱글 Men

1. 얀한 (Han YAN)



2. 조슈아 페리스 (Joshua FARRIS)




3. 제이슨 브라운 (Jason BRWON)



4. 데니스 텐 (Dennis Ten)




5. 잔 부시 (Zhan Bush)




페어 Pair

1. Wenjing Sui / Cong Han (CHN)




2. Xiaoyu Yu / Yang Jin (CHN)




3. Vasilisa Davankova / Andrei Deputat (RUS)




4. Haven Denney/Brandon Frazier (USA)


5. Margaret Purdy / Michael Marinaro (CAN)


아이스 댄스 Ice Dance


1. Victoria Sinitsina / Ruslan Zhiganshin





2. Alexandra Stepanova / Ivan Bukin (RUS):
http://www.youtube.com/watch?v=dIcuzArqhOo




3. Alexandra Aldridge / Daniel Eaton (USA): http://www.youtube.com/watch?v=KyMn28riAvA



4. Anna Yanovskaya / Sergey Mozgov (RUS)




5. Gabriella Papadakis / Guillaume Cizeron (FRA)




Finale





----------------------------

이번 갈라에는 참석 못했지만 아쉬운 마음을 달려며
김해진 선수와 이준형 선수의 갈라를 링크 했습니다.

김해진 선수의 갈라는 우연히도 그레이시 골드와 같은 곡인 Renka의 " The Show"네요...

김해진 A2011 All That Skate Spring

이준형 2011 아시안 트로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