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13일 아이스 댄스 육성팀 2차 오디션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레베카 김 & 키릴 미노프 팀이

8월 초 주니어 그랑프리 한국 대표 선발전에 참가할 예정입니다.


이들은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 출전 준비를 위해

6월 17일부터 라트비아에서 열리는 스케이팅 여름캠프에

같은 클럽 소속 러시아 대표 선수들과 함께 전지훈련을 갈 예정입니다.


레베카 & 키릴 팀은 팀 구성 후

러시아 모스크바의 "메취타" 링크에서

UOR4 클럽 소속으로 연습해 왔는데요.



아이스 댄싱 대표팀 2차 육성선수 선발전, 레베카 김 / 키릴 미노프 팀 (출처: JewelSkatersCross 유튜브 영상 캡쳐)


이리나 죽 (Irina Zhuk), 알렌산더 스비닌 (Alexander Svinin) 부부 코치가 이들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코치한 팀으로는

2008 월드 동메달, 2009 유럽 챔피언 야나 코클로바(Jana Khokhlova) & 세르게이 노비츠키 (Sergei Novitski)

2011 주니어 월드 은메달  예카테니라 푸샤시 (Ekaterina Pushkash) & 조나단 게레이로 (Jonathan Guerreiro)

2012 주니어 월드 은메달  알렉산더 스테파노바 (Alexandra Stepanova) & 이반 부킨 (Ivan Bukin)

팀 등이 있습니다.


그랑프리 파이널 2008 왼쪽부터 이리나 죽, 세르게이 노비츠키, 야나 코클로바, 알렉산더 스비닌 코치


레베카 & 키릴 팀은 비록 한국 국가대표 육성팀 훈련에 합류하지는 않지만,

2차 육성팀 오디션 결과 공고 2조에 의해

한국에서 열리는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공고 2조는 그동안 한국 국적자에게만 허용하던 피겨 스케이팅 국내 대회 참가 자격을

팀 경기의 경우 한 명의 국적이 한국인 경우에도 참가가 가능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레베카 김 선수는 리투아니아에서 출생했지만,

한국국적을 선택하여 유지하고 있어,

레베카 & 키릴 팀은 국내대회 출전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키릴 미노프 선수의 국적은 러시아입니다.


한편, ISU 국제 대회의 경우에도,

파트너의 국적이 다른 경우 두 선수 중 한명의 국적으로 출전이 가능합니다.

다만 올림픽의 경우에는 두 선수의 국적이 모두 해당국가여야 합니다.

지난 2차 아이스 댄싱 육성팀 선발전 결과 공고에서

빙상연맹은 파트너 중 한명이 해외국적인 팀에 대해서

국내대회도 출전이 가능하다고 명시한바 있는데요.



작년 11월 제1차 육성팀 선발전에서 호평을 받았던

재미교포 민유라 선수가 트라이 아웃을 마치고,

남자 파트너(아래 사진 왼쪽) 를 확정했다는 소식입니다.



 (사진출처: 민유라 선수 twitter https://twitter.com/#!/Yuraxmin) 트라이 아웃 사진, 맨 오른쪽은 이고르 슈빌반트 코치


민유라 선수는 미시간 디트로이트의 아크틱 스케이팅 클럽에서

이고르 슈필반트 코치의 지도하에 훈련하고 있습니다.


이고르 슈필반트 코치는 마리나 쥬에바와 함께

아크틱 스케이팅 클럽의 아이스댄스 코치로,

이들이 지도하는 선수로는

올림픽, 월드 챔피언, 테바버츄 & 스캇 모이어

이들의 라이벌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그리고 시부타니 남매 등이 있습니다.


이메일 인터뷰에서 민유라 팀은 8월초 한국에서 열릴 예정인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는

파트너를 구성한 기간이 짧고, 얼마 남지 않은 관계로

현재로서는 참가할 수 없을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7월 25일에서 28일까지 미국의 뉴욕주에서 열리는

레이크 플레시드 아이스 댄스 챔피언쉽

주니어 부문 출전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합니다.

이고르 슈필반트의 지도아래 쇼트와 프리 댄스를 연습중이고,

두 프로그램 중 최소한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레이크 플레시드 아이스 댄스 챔피언 쉽은 (http://www.lakeplacidskating.com/events/icedance.php)

올해 80회를 맞이하는 컴피티션으로

주로 북미의 아이스 댄스 팀들이 본격적인 시즌 전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대회입니다.

2011년의 경우 주니어 부문에  28개팀, 시니어 부문에 16개팀이 참가한 바 있습니다.


업데이트 2014년 12월 2일 )

최휘 선수와 팀을 이루어 한국 페어팀이 된

루이스 마넬라 선수가 본인의 페이스 북에

프로그램 연습 영상과 점프 영상등을 올렸습니다.

점프 영상에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와 쓰로윙 점프를 선보였습니다.


https://www.facebook.com/luizmanella


프로그램 영상을 보면

시간으로 보아 쇼트 프로그램인 듯 한데,

음악은 부르노 마스 (Bruno Mars)의 "Marry You" 입니다.

제목이 말해주듯이 프로포즈 플래시 몹으로도 유튜브에 영상이 많이 올라와서

개인적으로도 아댄이나 싱글, 페어 갈라 프로그램으로 기대하던 음악입니다.

2년 전 전에 제 블로그의 피겨 쥬크 박스 시리즈 중이 하나로

"Marry You"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관련 포스팅: 피겨 쥬크 박스, "Marry You"


이번 시즌부터 페어도 가사 있는 음악이 허용되어

쇼트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는 듯 합니다.

종합선수권에서 선보일 "Marry You" 프로그램 기대되네요.

이제 드디어 한국 페어팀이 생겼는데...직관을 못가다니......


종합 직관 가시는 분들 진심 부럽습니다~~~

--------------


일생에서 단 한번 이벤트가 필요하다면

단연 프로포즈입니다.


"결혼은 해도 안해도 후회하니까 일단 해보는게 어떠냐"는 시니컬한 문구도 있고

최근 프랑스 등의 유럽에서는 결혼없이 사회적 동반자라는 관계로 같이 잘 살아가고 있고,

한편 미국에서는 동성간의 결혼에 대한  법적 인정 여부가 미대선의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만,


하여간 일단 결혼하기로 마음 먹었으면,

프로포즈는 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잠실 야구장에서 봤던 야구장 프로포즈 홍보 문구,

"제대로 한 프로포즈, 결혼 후 10년이 편하다"는 실용적인 충고가

제 주변을 봐도 정말 인생의 지혜더군요.

여하튼 인생에 단 한번 이벤트가 필요하다면 그건 프로포즈일 겁니다.

(참고로 가정의 평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결혼 선물은 식기 세척기이구요...)


여하튼 프로포즈도 점점 진화하고 있습니다.

결혼하기 더 힘들게 되었죠....


뉴욕시 센트럴 파크에서의 프로포즈 플래시 몹(flash mob) 입니다.

(참고로 영어로는 프로포즈를 marriage proposal라고 합니다.)


Mobbed 라는 Fox TV의 플래시 몹 리얼리티 쇼(http://www.fox.com/mobbed/)에 나온

초대형 플래시 몹 프로포즈.


최근 유튜브에 또하나의 플래시 몹 프로포즈가

올라와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5월 25일에 업로드 된 이 영상은

4일만에 600만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합니다.

이 프로포즈에는

신랑의 친구들과 가족 그리고 동네 주민들이 참가해

신부에게 평생 잊을 수 없는 추억을 남겨주었다고 합니다.



위의 프로포즈에 쓰인 이 곡은 이미 미국 뿐만 아니라

사실 그동안 세계 각지에서 프로포즈 플래시 몹의 레파토리로 꾸준히 쓰이고 있었는데요...





피겨 쥬크박스, 3번째로 소개할 노래는

프로포즈의 단골 레파토리,

바로 Bruno MarsMarry You 입니다.


Marry You는 제목부터 프로포즈용 맞춤 노래 같은데요..

이 노래는 결혼식 입장 때에도 자주 쓰입니다.


그 이유는

미국을 강타한 뮤지컬 TV 드라마 Glee 덕분입니다.


Glee는 지난번 미국 regional 과 sectional을 소개하면서

언급한 적이 있는데요. 미국내셔널 지역예선 탐방기 regional? sectional?

오하이오 스몰타운 어느 고등학교의 Vocal Club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미국 TV 드라마입니다.


Glee의 결혼식 장면에 이 노래가 쓰였는데요.


배우자를 사별하고 홀로 지내오던

각자의 어머니와 아버지가 사랑에 빠지고 그 결혼식에

들러리를 서게 된

Glee의 멤버 Finn과 Kurt.


미식축구 쿼터백 선수인 Finn과 동성애자인 Kurt는

부모들의 결혼을 앞두고 갈등을 겪지만 

결국 서로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새로운 형제로서 받아들이게 됩니다.


이 결혼식에 Glee의 멤버들이 모두 모여 

핀과 커트 부모님의 새로운 인생의 첫발을 축하해주는데요.

바로 신랑 신부 입장에 앞서 이들이 참여하는 어깨를 들썩이게 하는 들러리 입장 장면입니다.





이 들러리 입장은 Glee의 인기와 더불어 세계 각지에서 오마쥬와 Cover를 하게 됩니다.










캐나다에서 열린 결혼식에 저도 한번 참석할 기회가 있었는데요.

결혼식 후 피로연에서 wedding dance 라는 것이 있더군요.

신부가 아버지와의 마지막 댄스를 춘 후 아버지가 신랑에게 신부의 손을 넘겨줍니다.

그리고 신부는 부부가 된 후 처음으로 신랑과 함께 댄스를 춥니다.



합창 콘서트에서도 단골 레파토리인 Marry You.



(앗 브루노 마스의 official music video는?

유튭에 없네요...뭐 원본이 그렇게 중요하겠습니까? 이렇게 다들 즐기고 있는데...)


대신 샌드 애니매이션 영상 보너스로...



피겨용 안무를 생각해보면,

이 노래는 남싱 프로그램, 혹은 재치있게 프로포즈의 도식적인 성역활을 뒤엎는 방식으로 여자 싱글 갈라용.

아이스 댄스용으로도 꽤 경쾌하게 재미있을 것 같구요....


사실 제일 추천하는 건...싱크로나이즈드 스케이팅입니다.

이미 glee에서 보여준 군무나 이런 것들이 상큼한 결혼식 들러리 드레스와 어우러지면

재미있는 프로그램이 나올 것 같아요.


Epilouge

은반위에서 피겨 스케이터가 프로포즈 하는 경우는 심심치 않게 있는데요..

페어 선수들이 주로 은반위에서 청혼을 합니다.

중국 페어팀, Jian Tong의 Qing Pang에게의 청혼입니다.



원래 일본의 싱글 선수였던 Rena Inoue는 98년 암진단을 받은 후 재활에 성공해

John Baldwin과 파트너가 되어 미국의 페어팀으로 다시 빙판에 돌아오는데요.

어려운 때를 함께한 그들은 2004년과 2006년에 미국 챔피언이 됩니다.

2008년 미국 내셔널에서 John Baldwin은 Rena Inoue에게

프리 경기가 끝난 직후 빙판 위에서 프로포즈를 합니다.



하지만 빙판위의 프로포즈는 단지 피겨 스케이터들의 특권 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아이스 하키 선수를 위한 프로포즈


그리고 링크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습니다.


언젠가

피겨팬들 혹은 선수들이 모여서

누군가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청혼할 때

(플래시 몹을 잘 살리려면 사람많은 롯데월드 링크가 좋을 듯)

은반 위에서 프로포즈 플래시 몹을 해보면 어떨지

하는 생각도 잠시 해봅니다.


 
그리고 싸우신 분들...오늘 화해하세요...


피겨 쥬크박스 1편 Rachmaninoff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18번

피겨 쥬크박스 2편 Call Me Maybe (Carly Rae Jepse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