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페어 스케이팅 팀인

정유진 / 루카 디마테 팀이

해체되었습니다.


국민일보(1월 15일 인터넷 판) 에 따르면

당초 정유진/루카 디마테 팀은 종합선수권에 출전한 후 팀워크를 점검하고

지속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고 하는데요.

해체를 결정했다고 합니다.

기사 링크: [국민일보/단독] 페어 2개 팀 모두 결렬, 평창 프로젝트 난항


또한 최휘/ 루이스 마넬라 팀은

마넬라 선수가 부상을 이유로 입국하지 않아

종합선수권에 참가하지 않았는데요.

휘 / 루이스 팀 역시 해체하게로 했다고 했는데요.


기사에 보면 빙상연맹 관계자의 확인이 있었다고 하니

오보는 아닌 것 같습니다.


국민일보의는 페어 두 팀이 모두 해체했다고 했지만,

몇시간 뒤 뉴시스에 의하면

최휘 / 루이스 마넬라 선수는 마넬라의 부상여부를 살펴보면서 팀을 지속하려 한다고 보도 했습니다.

빙연 측은 "최휘-마넬라 조를 지도하는 잉고 슈토이어 코치가 마넬라를 만나기 위해 떠났다. 

슈토이어 코치를 통해 확인해봐야 한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기사 링크: [뉴시스] 피겨, 정유진/루카 디마테 팀 해체

그리고 국민일보도 첫 기사가 나간 후

몇시간 뒤 정유진/루카 디마테 팀만 해체했다고 정정해서 다시 기사를 올렸네요.

기사 링크: [국민일보] 페어 정유진-디마테 조 해체… 한국 피겨 평창프로젝트 차질


정유진 / 루카 디마테 팀의 해체는

종합선수권에서 시범경기를 선보였고,

많은 팬들이 성원을 보내준 터라 아쉽네요.



지난 빙상연맹은 평창 올림픽 개최국 자동출전권을 확보한 

페어 스케이팅 팀 구성을 위해서

7월 한국 싱글 선수들을 대상으로 페어팀 오디션을 가진 후

2명의 여자 선수를 선발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9월, 세계챔피언 사브첸코/졸코비 팀을 길러낸 바 있는 

세계적인 페어 코치 잉고 스토이어 코치의 주도하에 

플로리다에서 외국인 남자 선수들을 대상으로 트라이아웃을 실시,

정유진 / 루카 디마테, 최휘 / 루이스 마넬라 2개 팀이 결성된 바 있는데요.

관련포스팅: 한국 페어 스케이팅 부활하다

그 후 본격적인 훈련을 해왔지만,

아쉽게도 종합선수권 이후 두 팀 모두 결별하게 되었습니다.

한 팀이 이미 결별하였고, 

다른 한팀은 다른 파트너의 부상여부로 어려움에 빠졌습니다.


사실 팀웍이 중시되고

훈결과 경기 중 위험 부담이 많은 페어의 경우 

이번 시즌 탑 팀들의 해체에서도 보듯이

결별하는 경우가 많고,

더 좋은 파트너를 만나기 위한 시도는

긍정적인 과정입니다.


하지만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이 과정에서의 빙상연맹의 대처 방식과 지원부족입니다.

빙상연맹은 지난 아이스 댄스 육성 프로젝트에서 보여주었던 문제점들을 

고스란히 페어 육성 프로젝트에서 다시 보여주고 있는데요.


피겨계의 관례도 무시하고 트라이 아웃 중인

선수들의 명단도 공개하는 등,

페어 프로젝트의 언론홍보를 열심히 하며 생색을 내던 빙상연맹은

SBS 보도에 의하면 이번 종합선수권에서의 루이스 마넬라 선수의 불참에 대해서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최근 이번 팀 해체에 관해서도 제대로 된 언급이 없었습니다.


왼쪽부터 루카 디마테, 정유진, 잉고 스토이어, 최휘, 루이스 마넬라

출처: 대한빙상연맹 보도자료 (http://www.skating.or.kr/community/press_list.jsp?m_lnb=5&s_lnb=2&t_lnb=0)


결국 정유진 / 루카 디마테 팀의 결별사실은

한국 언론이 아닌,

미국 피겨 전문 사이트인 

아이스 네트워크 기자, 린 러서포드의

트윗을 통해서 알려지게 되었죠.


(해석) 종합선수권에 참가한 페어팀 정유진, 이탈리아 파트너 루카 디마테가 해체하기도 했습니다. 

디마테 선수는 한국에서 새로운 파트너를 찾고 있는 중입니다. 

출처: https://twitter.com/LynnRutherford/status/555146491351019520


또한 지난 종합선수권 직전 SBS의 보도에 의하면

그동안 미국 플로리다에서의 훈련비용도 별다른 지원없이 

대부분 한국 페어 선수들이 부담했다고 합니다.


좋은 것보다 힘들고 굳은 일을 하면서,

스케이터들이 힘들 때 대신 이야기해주고,

방패가 되는 것이 연맹의 역할인데,

한국의 연맹은 그 반대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원은 커녕, 결정적일 때마다 뒷짐을 지고 있네요.


한편, 디마테 선수는 

한국에 남아 새로운 페어 파트너를 찾고 있는 중이고,

정유진 선수도 다른 파트너를 찾아 주니어부터 시작하고 싶다고 하네요.


12년만에 부활했던 한국 페어팀 

쉽지 않은 출발이기는 했지만,

다시 새로운 팀이 만들어지고,

최휘 / 루이스 마넬라 팀도 다시 훈련에 돌입하면,

이번에는 제대로 된 지원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빙상연맹으로서는 

언론에 홍보할 수 있는 단지 하나의 생색내기 용 프로젝트일지 모르겠지만,

스케이터들에게는 그들의 인생을 건 큰 결정이니까요.

한국 페어 스케이팅 팀이 11년만에 다시 부활했습니다.


지난 7월 페어 스케이팅 육성팀 공모에 지원했던 

최휘 선수와 정유진 선수가 

9월 중순 플로리다에서 잉고 스토이어 코치의 주관아래 이루어진

외국인 남자 선수들과의 트라이 아웃 결과

각각 파트너를 만나 팀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이번 주말 열리는 랭킹전 엔트리에 없어, 

페어에 전념하는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지난 트라이 아웃이 잘 되어 팀이 결성되고 꾸준히 훈련해온 듯 싶네요.


최휘 선수는 브라질의 루이스 마넬라 (Luiz Manella) 선수와

정유진 선수가 이태리의 루카 디마테 (Luca Dematte) 선수와

각각 페어팀을 이루어 

잉고 스토이어 코치의 지도아래

내년 1월초 종합선수권 대회 데뷔를 목표로

플로리다에서 훈련중이라고 합니다.


왼쪽부터 루카 디마테, 정유진, 잉고 스토이어, 최휘, 루이스 마넬라

출처: 대한빙상연맹 보도자료 (http://www.skating.or.kr/community/press_list.jsp?m_lnb=5&s_lnb=2&t_lnb=0)


오늘 빙연 게시판에 보도자료가 뜨고,

관련 기사들이 올라왔습니다.


한국 페어 관련 부분만 옮겨보았습니다.


출처: 대한빙상연맹 보도자료 (http://www.skating.or.kr/community/press_list.jsp?m_lnb=5&s_lnb=2&t_lnb=0)


잉고 스토이어 코치를 소개하는 문장이 조금 애매하게 쓰여 있는데요.

보도자료를 이렇게 썼어야 하지 않나 싶네요. 


==> 2회 올림픽 동메달, 5회 세계챔피언 및 4회 유럽챔피언에 오른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 팀을 지도한 

1998년 나가노 올림픽 페어 동메달 리스트 독일의 잉고 스토이어 코치가 플로리다에서 이들을 지도하고 있다


결국 보도자료의 문장이 애매해서, 관련 기사들을 보면 

"나가노 올림픽 동메달 리스트 사브첸코 & 졸코비를 지도한" 이렇게 많이 썼더라구요... 

제대로 점검 안한 기자들도 문제겠죠...


새로 파트너가 된 남자 선수들을 소개하자면,

최휘 선수와 팀을 이룬

루이스 마넬라 선수는 브라질의 싱글 스케이터로

2013 주니어 월드에서 15위를 한 적이 있고,

이번에 페어로 전향했습니다.


참고로 루이스 마넬라 선수는 95년 2월생으로

최휘/루이스 마넬라 팀은

15/16 시즌까지 주니어 국제 대회에 출전할 수 있습니다.


정유진 선수와 팀을 이룬

루카 디마테 선수는 이태리의 페어 스케이터로

2012 유로에서 12위를 기록한바 있습니다.


정유진, 루카 디마테 팀은

루카 디마테 선수가 90년 5월생으로

국제대회에 시니어로 출전해야 합니다.


이들이 훈련하고 있는 곳은

팬더스 피겨 스케이팅 클럽인데요.

코랄 스프링이라는 미국 플로리다 마이애미 큰처의 도시에 있습니다.


지난 페어 훈련지 소개 포스팅에서 짤막하게 소개해 드린 적이 있죠.

관련 포스팅: 페어 스케이팅 해외 훈련지 소개 (일본, 미국, 캐나다)


팬더 FSC에는

존 짐머만과 실비아 폰타나 부부코치가 페어 코치로 있었는데,

사브첸코/졸코비 팀을 이끌고 오프 시즌에

이곳에서 훈련을 하며 협력 관계에 있던 잉고 스토이어 코치가 

알리오나 사브첸코 / 브루노 마소 팀과 결별한 후 플로리다에 정착하면서

이 클럽으로 영입되었습니다.

아이스 네크워크 관련 기사 링크 


루이스 마넬라 선수의 페이스 북에

미국 NHL 하키팀 플로리다 팬더스의 홈링크인 BB&T 센터에서 동료 페어팀들과

훈련하는 사진이 올라왔습니다.


왼쪽아래서부터 지그재그로 케이디 데니/존 코플린, 하벤 데니 / 브랜든 프레이저, 최휘/루이스 마넬라, 정유진/루카 디마테

출처: https://www.facebook.com/luizmanella


최휘 선수와 나란히 사진을 찍은 팀은 2013 주니어 월드 우승 및 2014 SA 2위에 오른

미국 페어의 희망, 하벤 데니 / 브랜든 프레이저 팀입니다.

원래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훈련하던 

2012 미국 내셔널 챔피언인 케이디 데니 (하벤 데니의 언니) / 존 코플린 팀도

현재 플로리다에서 훈련하는 듯 합니다.


좋은 코치진  뿐만 아니라 좋은 링크 동료들 한테도

한국 페어팀들은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난 어텀 클래식에서 보았던 하벤 데니 / 브랜든 프레이저 팀의

프로그램 완성도와 기술적인 발전은 지난 시즌과 확연히 다른 좋은 모습이었고,

결국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의 은메달로 이어졌습니다.

이번 미국 내셔널 페어 부문의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한국 페어가 세계선수권에 출전한 것은

1992년 최정윤 / 이용민 팀이 마지막이었습니다.

이후 이용민 선수가 은퇴 한후 페어 팀들을 길러내면서

한국 페어의 명맥을 이어갔죠.

하지만 아쉽게도 2003년 김연정 / 김인배 팀 이후 명맥이 끊겼습니다.

11년의 시간이 지난 후 한국 페어가 다시 시작합니다.

관련 포스팅: 한국 페어의 역사, 페어선수의 자질


블로그 쉬엄 쉬엄 하는 중이지만,

페어는 시간 되면 꼭 포스팅 하고 싶었습니다....^^;


플로리다 팬더스 FSC에서 훈련하는

2개의 한국 페어 팀들이 서로에게

좋은 동료이자 경쟁자가 되기를...


짧은 기간동안 한국 아댄이 그랬듯이...

멋진 팀으로 성장하기를...


한국 페어 스케이팅을 응원합니다~~


보너스)

최휘 선수와 팀을 이루게 된

루이스 마넬라 선수가 본인의 페이스 북에

프로그램 연습 영상과 점프 영상등을 올렸습니다.

점프 영상에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와 쓰로윙 점프를 선보였습니다.


https://www.facebook.com/luizmanella


프로그램 영상을 보면

시간으로 보아 쇼트 프로그램인 듯 한데,

음악은 부르노 마스 (Bruno Mars)의 "Marry You" 입니다.

제목이 말해주듯이 프로포즈 플래시 몹으로도 유튜브에 영상이 많이 올라와서

개인적으로도 아댄이나 싱글, 페어 갈라 프로그램으로 기대하던 음악입니다.

2년 전 전에 제 블로그의 피겨 쥬크 박스 시리즈 중이 하나로

"Marry You"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관련 포스팅: 피겨 쥬크 박스, "Marry You"


이번 시즌부터 페어도 가사 있는 음악이 허용되어

쇼트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는 듯 합니다.

종합선수권에서 선보일 "Marry You" 프로그램 기대되네요.

이제 드디어 한국 페어팀이 생겼는데...직관을 못가다니......


종합선수권 직관 가시는 분들 진심 부럽습니다~~~

유럽 그리고 중국의 페어 훈련


이제 북미 이외에

러시아, 중국, 독일
, 프랑스, 이태리

페어 훈련지를 살펴보도록 하죠.

 

지난 편을 못 읽은 분들은

한국 페어 스케이터 육성 특집 - 오디션 및 페어선수의 자격

한국 페어 스케이터 육성 특집 - 미국, 캐나다, 일본의 훈련지



페어의 강국

중국과 러시아는 자국 선수에게 중점을 두면서

다소 폐쇄적일 것으로 생각되기는 합니다.


러시아 


러시아는 여전히 페어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막강한 선수층과 전통, 그리고 유능한 페어코치들이

밴쿠버 올림픽에서의 노메달의 충격을 벗어나

페어 왕국 러시아의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죠.


러시아 페어는 자국 페어 선수의 외국 선수로의 활동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고,

또한 외국 선수들의 훈련도 러시아로 국적을 바꾸어

페어팀을 이루지 않는 한 잘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유코 가와구치의 경우처럼 러시아 남자 페어 선수와 팀을 이루어

세인트페테르부르크에서 훈련하며 2001 주니어 월드 은메달을 딴 적도 있지만,

푸틴 정권의 자국 스케이터와 링크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강화될 수록

상대적으로 외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을 받지 않고 있고,

자국 선수도 외국연맹에 내주지 않고 있습니다.


극단적인 예로 러시아 출신인 2009 주니어 월드 페어 우승자 루보프 일루셰키나

남자 파트너와 헤어진 후 프랑스 선수인 야닉 코푼 선수와 함께 프랑스를 대표하려 했지만,

러시아 연맹의 이적 거부로 2년 반 동안 컴피에 뛰지 못했습니다.

최근 다시 팀을 이룬 캐나다의 딜란 모스코비치와의 파트너쉽도

아직 러시아가 허가해주지 않고 있다고 하네요.

 

이러한 전통은 과거 공산주의 소련 시절의

엘리트식 피겨 선수 육성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국가가 전적인 지원을 해주는 대신 

선수들을 국가의 자산으로 생각하는 것이죠.

 

 

하지만 소련의 몰락이후 국가의 지원이 끊겼고,

1990년대 코치와 스케이터들이 해외 각지로 살길을 찾아 나갔습니다.

하지만 다시 경제가 살아남에 따라 2000년 대 초반부터 러시아로 돌아오기 시작했죠.

2000년 대에 들어서면서 예전의 피겨 스케이팅 인프라가

복원되기 시작합니다.

 

1) 보로비오비 고리 (Vorobiovy Gory) 클럽 (모스크바)


최근 페어로 가장 각광받는 러시아 페어 클럽이죠.

이 클럽의 대표 코치는 니나 모제르 (Nina Mozer) 코치입니다.

블라디슬라브 조프니르스키 (Vladislav Zhovnirski) 그리고

우크라니아 출신 스타니슬라브 모로조프 (Stanislav Morozov)가 같이 지도하고 있죠.

페어 선수 출신인 모제르는 페어 코치만 해왔는데,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잠시 미국에서 코치를 하기도 했지만,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옵니다.

2010년 밴쿠버 올림픽 이후 파트너와 결별한 막심 트란코프와 새로운 파트너 타티아나 볼로소자 팀을

볼로소자를 코치하던 모로조프와 함께 지도하여

일약 톱 페어로 올려놓습니다.

2012년 9월 러시아 테스트 스케이트에서의 볼로소자/ 트란코프 그리고 모로조프와 모제르 코치 모습이 담긴 영상입니다.


그리고 테스트 스케이트 이후의 볼로소자/트란코프의 인터뷰입니다. 


이들의 성공과 함께

니나 모제르의 다른 팀들도 서서히 소치 올림픽이 다가오면서 떠오르게 되었고,

러시아 내셔널에서 포디움을 휩끌게 됩니다

결국 모제르는 소치 올림픽에 출전한 3팀의 러시아 페어를 동시에 코치하게 되었는데요.

타티아나 볼로소자/막심 트란코프, 크세니아 스톨보바/페도르 클리모프,

그리고 베라 바자로바/유리 라리노프가 같은 링크에서 훈련했죠.

소치 올림픽, 이들은 홈링크에서 페어 금,은메달을 휩쓸었습니다.

단체전 금메달에서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죠.

 

2) 유빌레이니 스포츠 펠리스 (Yubileyny Sports Palace)  세인트 페테르스부르크


지금은 모스크바 페어에 자리를 내줬지만  세인트 페테르스부르크에도 

강력한 페어의 전통이 있습니다.

세인트 페테르스부르크에 알렉세이 미쉰 코치의 싱글 스케이팅 전통이 있다면

페어에서는 이고르 모스크빈(Igor Moskvin)타마라 모스크비나 (Tamara Moskvina) 부부코치가 있습니다.

러시아 페어 최초 금메달리스트를 이고르 모스크빈이 발굴했을 뿐만 아니라

이후 그의 아내인 타마라 모스크비나가 함께 코치하며

부부 코치는 합계 6팀의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를 배출했습니다.

각각 1991년 월드, 그리고 1994년 굿윌게임 페어 방송 전에 방영된 이고르 / 티마라 코치에 대한 영상 클립 두개입니다. 

 


공산주의 소련의 몰락이후 국가의 지원이 끊기자

모스크비나는 자신이 코치하는 선수들을 위한 매니지먼트 역할까지 하면서

러시아 페어 왕국의 전통을 지킵니다.

1992년 알베르빌 올림픽을 앞 둔 나탈리아 미슈크테노크 /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에 대한 소개입니다.


유빌레이니 스포츠 펠리스 (Yubileyny Sports Palace) 링크에서는

모스크비나의 뒤를 이어

최근에는 제자인 올렉 바실리예프(Oleg Vasiliev)가 바통을 이어받아

2006 토리노 올림픽에서 토트미아나/마리닌이 금메달을 따도록 지도했습니다.

하지만 세인트 페테르스부르크 페어는 최근 주춤하고 있는데요.

이들이 책임졌던 밴쿠버 올림픽에서

모스크비나가 지도한 가와구치/스미르노프 팀이 포디움에서 탈락했고,

바실리예프가 지도했던 무코토바/트란코프 팀 역시 부진한 성적을 거두며

러시아 페어가 1964년 인스부르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이후

46년만에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하지 못한 것은 물론 

포디움에서 마저 탈락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코치와 사이가 안 좋던 트란코프는 생 페테르스부르크를 떠나 모스크바로 가서

볼로소자와 새로운 팀을 결성, 니나 모제르 코치에게 지도를 받아 소치 올림픽에서 챔피언이 되었죠.

최근 모스크비나가 코치에서 은퇴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새로 결성된 베라 바자로바/안드레이 데퓨타트 팀도 

4월부터 세인트 페테르스부르크에서 바실리예프에게 코치를 받고 있지만,

바실리예프 마저 재정적인 이유로 이들을 데리고 떠날 다른 훈련장소를 찾아보고 있다고 합니다.

싱글 스케이팅에 대한 지원집중과 모스크바 페어팀에 주도권을 내주면서

클럽이 최근 많이 밀리는 모습입니다.


이외의 러시아 페어 클럽들 


- 모스크바의 CSKA 스케이팅 클럽

예전의 최고 전성기만은 못하지만 페어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클럽입니다.

스타니슬라브 주크(Stanislav Zhuk) 그리고 그에 이은 타티아나 타라소바 (Tatiana Tarasova) 코치에 의해

러시아의 전설적인 페어팀이 탄생했었죠.

파트너를 바꾸어가며 3연속 올림픽 챔이언이 된 로드니나/울라노프, 로드니나/자이체프

그리고 고르디예바/그린코프 모두 이곳 출신입니다.

최근에는 페어보다는 싱글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모스크바  UOR4 클럽 (UOR 4 Moscow Gomelski) 

몇년전 링크를 연 이곳에서 

새로운 페어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들이 훈련하는 메히타 (Mechta)링크는

한국의 아댄팀 김레베카/키릴 미노프 팀이 훈련하는 곳이기도 한데요.

1992 올림픽 페어 금메달리스트 아르투르 드미트리예프

오랜 페어 코치 경력을 가진 나탈리아 파블로바가 가르치고 있습니다.

두 코치는 원래 세인트 페테르스부르크 출신으로 그곳에서 코치를 했었는데요.

파블로바는 2007년에, 드미트리예프는 2012년에 모스크바로 옮겼습니다.


중국


세계적인 페어 레전드 쉔 슈/자오 홍보를 배출한

중국의 피겨 인프라는 페어 선수 육성을 목표로 구축되어 있습니다.

십년이 넘는 노력과 헌신의 결과였죠 

2004년 세계선수권 쉔/자오의 플러프입니다.

 

중국은 쉔/자오가 그랬듯이 국가 주도의 훈련 캠프를 통해 엘리트 선수들을 배출하고 있죠.

주로 하얼빈에서 유망주들을 선발해 베이징의 국가대표 훈련 캠프에서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엘리트 페어 스케이터를 육성해내고 있습니다.

싱글 스케이트보다는 페어가 중국 피겨 스케이팅의 전략 종목입니다.

 

센 / 자오의 연습 장면 캡쳐 (from CNN 2010년)


토리노 올림픽에서 페어 은메달을 차지한

장단/장하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피겨 육성 시스템에 관한 영상입니다.


 

2014 주니어 월드 페어 포스팅에서 이야기 했듯이

관련포스팅: 2014 주니어월드 페어 - 유사오유/진양, 중국페어의 미래

컴피에서 은퇴한

자오 홍보가 야오빈 코치 밑에서

코치 수업을 쌓으며 레전드 선수에서 이제

레전드 코치가 되기 위한 과정을 밟고 있고, 

이들에게 지도를 받는 펭/장수이/한조의 

성장을 보면 중국은 이제 한세대의 성공을 넘어서 

페어에 있어서는 선순환의 구조를 정착시키고 있는 듯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선순환 구조를 증명하듯

이들이 키우는 주니어 팀

유 샤오유 / 진 양 팀이

이번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하며 중국 페어의 미래로 떠올랐습니다.


독일

카타리나 비트가 훈련했던

켐니츠 스케이팅 클럽 (Chemnitzer EC)에서

페어 팀을 키우고 있습니다.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가 여기에서 훈련했었죠.

코치는 켐니츠 링크에서 훈련하며

페어 월드챔피언이 된 잉고 스토이어 (Ingo Steuer)입니다. 

 

그리고 알리오나 사브첸코는 졸코비의 은퇴후

프랑스의 브루노 마소와 새로 파트너가 되어

잉고 스토이어의 코치 아래 다시 올림픽에 도전합니다.

독일 연맹의 지원여부에 따라 훈련지가 결정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오버르스도르프 스케이팅 클럽 (EC Oberstdorf) 에서도

체코 페어 선수출신의 카렐 파이프르 (Karel Fajfr) 코치가

독일 페어팀을 지도 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프랑스 페어 선수 브루노 마소와 새로 팀을 이룬 알리오나 사브첸코는

잉고 스토이어의 코치아래

프랑스 서북부 도시인 칸(Caen)의 스케이팅 클럽에서

훈련하고 있습니다.

독일 연맹의 지원여부에 따라 훈련지가 바뀔수 있다고 하네요.

한편, 바네사 제임스/모간 사이프레스파리에서 훈련해 왔습니다.


이태리

주로 밀라노에서 페어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미국 등에서 보강 훈련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은 해체했지만) 베르통/호타렉의 팀의 경우

미국 디트로이트(제이슨 던전 코치)와 독일 오버스로드프

그리고 밀라노(프랑카 비앙코니)로 옮겨다니며 훈련했습니다.

또한 모니카/구아리즈 팀은 러시아 세인트 페테르스부르그의 

유빌레이니 스포츠 펠리스 링크에서 바실리예프 코치와 함께 훈련해 왔습니다.

---------


사실 페어는 제 피겨 스케이팅의 첫사랑입니다.


카타리나 비트로 피겨 스케이팅을 알게 되었지만

피겨 스케이팅에 빠지게 된 것은

바로 릴리 함메르 올림픽에서의 예카테리나 고르디예바 / 세르게이 그린코프

프리 "월광"을 보고 나서였습니다.

관련 포스팅: 피겨스케이팅 - 오래된 첫사랑 그리고 응답하라 1994




이번에 한국 페어 팀 모집 공고를 보니,

릴리 함메르 올림픽 때의 느낌

그리고

2년전 2011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직관했던

페어 컴피의 스펙터클과 감동이 기억나네요.


영상으로만 보았던 페어 컴피티션을 

그해 가을 처음으로 직관으로 보았습니다.






볼로소자/트란코프, 두하멜/래드포드, 듀베/울프의 경기를 본 후

페어를 볼수 있는 직관은

어디든 찾아가는 페어 팬이 되었죠.

오랜 시간이 지나, 다시 첫사랑을 만난 것 처럼


그리고 1달 뒤 미국 내셔널 지부예선에서

페어 컴피를 다시 볼수 있었습니다.


1시간 거리의 이스턴 섹셔널을 간 것은

싱글 경기를 보고 싶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페어를 보기 위해서였어요.

그 곳에서 이제는 서로 다른 길을 가게된

그레첸 돌란/앤드류 스페로프

러시아 페어보다 더 고전적인 페어 경기를 보고 그들의 팬이 되었습니다.


2013 세계선수권에서는

알리오나 사브첸코 / 로빈 졸코비팡칭/통지안 조를 볼수 있었습니다.




몇년 후 다시 찾은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대회 중에 운좋게도 메간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 팀과 

잠간이나마 이야기도 할 수도 있었구요.


링크에서만큼 오프에서도 

성실하고 진실한 태도를 가진 그들에게 

경탄하게 되었죠.


페어 선수 모집 공고를 보고

솔직히 기뻤습니다.


하지만 그반면 걱정도 됩니다.

페어는 쉽지 않은 종목이죠...

부상도 많고, 위험하기도 하고...


그리고 빙연에 의해 급조된 아이스 댄스 육성안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보았기 때문에...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페어 선수 지원을 할 스케이터들 그리고 부모님들께

어려운 길을 가시는 용기에 박수를 드립니다.


이국 땅에서의 첫 리프트가 쉽지 않겠지만,

시간이 지나 돌아보면 어려웠던 만큼 

커다란 시도로 기억되지 않을까요?


피겨를 그리고 무엇보다도 한국 스케이터를 아끼는

스케이팅 팬으로

페어 선수들이 가는 길에 

조용히 하지만 꾸준히 성원을 보내겠습니다.


언젠가 링크에서 선보일 

다시 시작하는 한국 페어 선수들의 첫 리프트에

벌써부터 마음이 설렙니다.


몇년후 그리고 평창올림픽에서

한국의 페어팀을 보게 된다면 

피겨 팬의 한사람으로서 정말 기쁠 것 같습니다.


한국 페어의 미래에 

행운이 함께 하기를 기원합니다.


스파이럴 드림


ps.

중국 페어팀의 첫 올림픽 영상을 링크합니다.



데스 스파이럴에서 넘어지는 등

비록 참담하게 경기를 망쳤지만,

이들의 올림픽 첫 경기는

수십년이 지난 후 다시 회자됩니다.


남자 선수의 이름은

야오 빈

중국 페어의 아버지,


바로 페어의 살아 있는 레전드

쉔 슈/ 자오 홍보의 코치입니다. 


그 자신 최하위를 했던 올림픽 무대에서

26년 뒤 야오빈의 제자들은 올림픽 챔피언이 됩니다. 


 

중국 페어의 도전을 다룬 다큐멘터리 클립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하다보니

한국 피겨 페어에도 90년대 어려운 길을 걸어갔던

선구자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안타깝게 단절되어 버린 한국 페어는 

이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요?


다가올 시즌에 

연습에 힘들어하고 경기 결과에 실망할 때에

한국의 페어 선수들이

중국 페어의 올림픽 첫 경기와 이 다큐를 보았으면 합니다.


길을 만드는 사람은 

그만큼 더 힘들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뚜렷이 기억된다는 것을...

현재로서는 해외 훈련이 답


지난 포스팅에서 한국 페어 스케이팅 선수 모집 공고와

페어 스케이터이 자질에 대해서 살펴 봤는데요.


한국 페어 스케이터 육성 특집 (1) 페어선수 오디션 및 자질에 대해


여하튼 한국의 페어팀은 어떤 선수들이 선발되던

한국에서의 훈련은 사실상 어렵습니다.


아댄의 경우 아이스 댄서 출신의 국내 코치들이 있어서

부족한 링크 확보에도 불구하고 시도를 해볼수 있었지만,

부상의 위험성 때문에 페어는 링크 공간 확보가 더욱 필수적이고

페어 국내 코치는 현재 사실상 없습니다.


그렇다면 결국 해외 링크에서의 훈련이 대안일텐데요.

그 비용과 절차들을 고려할 때

연맹의 지원은 필수적입니다.


일본 페어는 디트로이트 클럽 / 사토 유카 라인으로 훈련중


일본의 경우도 페어공간의 확보와 코치수급이 쉽지 않은 듯

현재 두 팀의 페어 팀이

결국 디트로이트에서 훈련하고 있습니다.


이번 소치 올림픽에

다카하시 나루미 / 기하라 류이치 팀이 

단체전과 개인전에 출전했던,

일본 페어는 이번에는 주니어 월드에도 출전을 시켰는데요.


주니어 페어팀은

일본 출신 수토 수미레

미국 출신 콘스탄틴 치지코프가 

결성한 팀입니다.


다카하시 / 기하라 팀과 마찬가지로

미국의 디트로이트 클럽에서

사토 유카, 제이슨 던젼, 세르게이 페트로프스키 코치와 함께

훈련을 하고 있습니다.


싱글 위주로 운영되는 일본의 경우에도

페어를 위한 링크와 코치의 확보가 쉽지 않은 듯 합니다.


한국 페어의 훈련지는 어디로?


문제는 페어 강국인 러시아와 중국은

국가 주도의 훈련 시스템으로 외국 선수들을 잘 받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들 국가에서 훈련하기 위해서는

재정적인 지원 이외에도 연맹 간의 협조와 외교력이 발휘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일단 국가 단위의 페어 훈련이 아닌

링크 단위로 운영되어 외국 팀을 잘 받는

북미의 페어 훈련환경 부터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사실 제가 더 잘알고 있기도 하구요...


미국 페어 링크

알렉스 샤니시 / 지미 모간 (Alex Shaughnessey / Jimmy Morgan) 캐리 월 (Carrie Wall) coach in Boston Skating Club

출처: http://bostonherald.com/photos/pairs_skaters_practice_at_the_skating_club_of_boston#sthash.6QHwS06H.dpuf

미국도 여자 싱글이 가장 활성화 되어 있고

최근에는 아댄도 선수들이 많지만,

시니어 페어의 경우에는 큰 클럽이 아니면 선수들이 거의 없습니다.

실제로 3개로 나누어 열리는 미내셔널

최종 지부 예선에도 

각 대회에 페어 시니어 팀은 4팀이 안되는 경우도 많구요.

제가 사는 곳의 스케이팅 클럽에도 

아이스 댄스 코치는 있는데,

페어 코치 및 페어팀은 없더군요.


디트로이트가 현재 세걔 아이스댄스의 새로운 엔진임은 틀림없지만,

페어의 경우는 그렇게 강한 연비를 내고 있지는 않습니다.


물론 디트로이트 근교에 위치한 디트로이트 클럽과 아크틱 클럽에

페어 프로그램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미국 페어의 3대 클럽이 있는 곳은

보스톤, 플로리다, 콜로라도

입니다.


최근 미국의 내셔널 챔피언들이 이곳에서 나오고 있구요.

차례로 소개해보죠.


1) SC of Boston (보스톤)

다음의 코치들이 분업을 하면서 지도하고 있습니다.

코치: Bobby Martin, Carrie Wall (technical), Mark Mitchell (in-betweens, polishing), Peter Johansson (throws).

주요 선수:

Marissa Castell/ Simon Shnapir (2013, 2014 미국 내셔널 챔피언)

Gretchen Donlan / Andrew Speroff (2012 미국 내셔널 4위)

하지만 오프 시즌 동안 모두 해체하고

다른 파트너를 찾아 각자의 길을 가게 되었네요..


2014 미국 내셔널이 보스톤에서 열렸는데요.

보스톤 스케이팅 클럽이 주관하여 홍보 영상을 찍었습니다.

위에 언급한 두 팀의 페어팀이 등장하여 보스톤을 소개합니다.



보스톤 스케이팅 클럽에 대한 클립들입니다.

지금은 비록 피겨의 중심이 디트로이트와 캘리포니아로 옮겨갔지만,

보스톤 스케이팅 클럽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스케이팅 클럽 중의 하나이고

미국 피겨 연맹의 창립 클럽입니다.

1912년에 세워져 100년이 넘는 역사동안 미국 피겨의 레전드들을 배출하며

피겨 강국 미국의 첫 스텝을 내딛도록 한 곳입니다.

미국 최초의 올림픽 피겨 금메달리스트

더블악셀을 처음으로 랜딩한 피겨의 전설 딕 버튼이 훈련한 스케이팅 클럽이기도 합니다.

그만큼 자부심도 대단합니다.



페어 코치인 바비 마틴과 남자 싱글 로스 마이너가 보스톤 스케이팅 클럽 100주년을 기념하는 영상을 찍었네요.


보스톤 스케이팅 클럽 스케이팅 아카데미 소개 영상입니다.


2014년 유튜브에 올라온 보스톤 스케이팅 클럽 관련 영상 파일입니다.


2) Broadmoor SC (콜로라도 스프링스)


코치: Dalilah Sappenfield, Laureano Ibarra

주요선수:

Caydee Denney / John Coughlin (2012 미국 내셔널 챔피언)

Alexa Scimeca / Christopher Knierim (2013 미국 내셔널 2위)


미국 페어의 대모, 달라이아 샤펜필드가 코치하는

전통적으로 페어가 강한 링크입니다.


코치진을 구성하고 있는 로레노 이바라는 12살에 부모를 잃은 후

샤펜필드 코치가 페어 선수로 지도하면서 아들로 입양 했습니다.

선수 은퇴후 어머니와 같이 코치를 하고 있습니다.


2008년, 샤펜필드는 페어에서 노비스, 주니어, 시니어 챔피언을 동시에

배출하며 미국 피겨연맹 올해의 코치상을 수상했는데요.


이후 연달아 미국 페어 내셔널 챔피언을 배출해내고 있죠.

키에누아 맥러린 / 로크니 브루베커 (2008, 2009),

케이틀린 얀코스카스 / 존 커플린 (2011),

케이디 데니/존 커플린 (2012)


2012 사대륙 선수권, 왼쪽부터 이바라 코치, 케이디 데니, 존 커플린, 샤펜필드 코치 

(c) Matthew Stockman/Getty Images North America


오프 시즌 그 많은 미국 페어팀의 해체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버티며 약혼까지 한

시메카/크네림 팀은 이번 내셔널 강력한 우승 후보이기도 합니다.


브로드모어 클럽의 강점은 단순히 페어 뿐만 아니라

싱글 스케이터도 강한 클럽이라

톰 크라섹 등의 싱글 코치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있습니다.

미국에서 각분야 분업이 가장 잘 되어 있는 링크로 유명하죠.

특히 점프 메카니즘과 관련해서는

미국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습니다. 패트릭 챈도 쿼드를 여기서 완성했죠.


About.com 에 피겨관련 기사를 쓰는 JoAnn Schneider-Farris

자녀들이 이곳에서 훈련을 하고 있습니다.

About.com에 최근 피겨 스케이팅은 비싼 스포츠인가라는 기사를 올리고,

여기에 피겨맘들의 댓글들이 달리고 있는데요.


본인이 피겨 코치이자, 피겨 맘이기 때문에 더욱 이러한 기사를 쓴 듯 합니다.

그녀의 블로그에 가보면 세 자녀의 

피겨 스케이터로서의 여정과 발전상을 

2011년부터 현재까지 볼수 있습니다.

블로그 링크: http://bladesturn.blogspot.com/

아나벨라 조엘 남매는 6월에 주니어 페어 승급 시험을

그리고 레베카는 시니어 페어 승급 시험을 통과했습니다.

샤펜필드 코치와 연습 환경에 대해서 자세히 적어놓은 포스팅이 있습니다.

http://figureskating.about.com/od/topskatingcoaches/p/dalilah.htm








3) Southwest Florida FSC  (Ice Sports Complex in Ellenton 플로리다, 탬파)

코치: Jim Peterson, Lyndon Johnston, Amanda Evora

주요선수

Felicia Zhang / Nathan Bartholomay (2014 미국 내셔널 2위, 오프시즌에 해체)

Tarah Kayne / Daniel O'Shea (2014 미국 내셔널 6위, 4대륙 선수권 2위)


밴쿠버 올림픽에 미국 대표로 출전했던

아만다 에보라/ 마크 라드윅 팀도 이곳에서 훈련한바 있습니다.

아만다 에보라는 자신이 훈련했던 링크에서 지금은 코치를 하고 있죠.



이 세 클럽이 미국의 탑 시니어 페어팀들이 훈련하는 

대표적인 스케이팅 클럽 들입니다.


하지만, 기초 레벨부터 시작해야 하는 선수의 경우 

이들 클럽 이외에도 노비스 레벨에서 잘 지도하는 클럽들도 봐둘만 하죠.


노비스 레벨의 페어관련 기사가 있는데

참고하면 좋을 듯 합니다.

http://www.iceskatingintnl.com/archive/results_2013Nationals/2013%20US%20Nationals%20NPFS.htm


BIG 3 이외의 페어 스케이팅 클럽

페어 빅3 클럽 이외에 
그외 페어 프로그램이 있는 곳을
조금 정리해보면 

- Detroit Skating Club (미시간 디트로이트)
코치: Jason Dungjen

- Arctic Skating Club (미시간 디트로이트)
코치: Marina Zoueva

- Panthers FSC (플로리다 코랄 스프링스)
코치: John Zimmerman, Silvia Fontana
주요 선수: Haven Denney and Brandon Frazier (2013 주니어 월드 챔피언)

- DuPage FSC, Buffalo Grove (일리노이)
코치: Jeremy Allen

- Indian World Skating Acadamy FSC (인디아나)
코치: Sergei and Elena Zaitsev 

- Aliso Viejo Ice Palace  (캘리포니아)
코치: Jenni Meno, Todd Sand
선수: Jessica CALALANG / Zack SIDHU

- East West Skating palace (캘리포니아)
코치: Peter Oppegard, Karen Kwan

이외에도 인터미디어트, 주버니엘 레벨에서는
더 많은 스케이팅 클럽에 페어 팀이 있는 듯 합니다.

이번 2014 미국 내셔널의
참가자와 클럽 이름을 찾을 수 있는 결과표를 링크해 드립니다.



* 미국에서의 비용과 방법

미국의 경우 피겨 유학을 갈경우
비자를 받는 것이 쉽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임시 관광 비자로 갈 경우 3개월에 한번씩 귀국해야 하구요.

한국의 모 선수도 그 때문에 미국에서의 아댄 훈련을 
단념하고 왔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영어권으로의 페어 유학을 생각한다면
캐나다는 좋은 대안
아니 사실은 미국보다 훨씬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캐나다 페어 링크

최근 캐나다의 페어팀들이 뜨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도 미국 보다 캐나다 페어팀이
강했었죠.

게다가 비자 받기가 어려운 미국에 비해
캐나다는 피겨 유학생을 위해서는 비자가 훨씬 쉽다고 들었습니다.
실제로 2000년대 초에 일본에서 캐나다로 피겨 유학을 왔던 선수들도 꽤 있구요.

1) Kitchner/Waterloo 클럽 (캐나다 온타리오 워털루)

키치너/워털루는 캐나다 토론토에서 자동차로 
1시간 반정도 서북쪽에 있는 작은 도시입니다.

작은 클럽인데도 불구하고.
커스틴 무어-타워스/ 딜란 모스코비치 (2014 월드 4위)라는
출중한 페어팀이 훈련해왔죠.

2013 COR에서 웜업 전 화이팅을 다지는 무어-타워/모스코비치


2014 캐나다 내셔널에서의 무어-타워/모스코비치, 로렌스/스위거스


지금은 무어-타워스와 모스코비치가 

다른 파트너를 만나 각자의 길을 가게 되었지만,

무어-타워스는 새로운 파트너 마리나로와 이곳에서 계속 훈련하고 있습니다.


마침 이 클럽에는 몇년전에 한국에서 피겨 유학을 간 

한승연 (영어명 Oliva Han) 이라는 선수가 훈련하고 있는데요.

아이스 댄스와 싱글 선수를 겸하고 있습니다.

프리 노비스 단계입니다.


한승연 양 아버님이 블로그도 운영하고 계신데,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환경에 대한

좋은 포스팅들이 많이 있습니다.



2) CPA St. Leonard 클럽 (퀘벡주 몬트리얼) 

온타리오 키치너/워털루 클럽과 함께

캐나다 페어를 이끌고 있습니다.


캐나다의 현 내셔널 챔피언이면서

2013, 2014 세계선수권 동메달리스트 

메간 두하멜 / 에릭 래드포드가 있죠.



이곳은 퀘벡주라서 공용어가 불어입니다.

영어보다는 다소 생소하죠.

하지만 역시 좋은 페어팀을 길러내고 있습니다.


지금은 해체되었지만 한 때 일본의 페어팀으로 활약했고

2012 세계선수권 페어 3위를 차지한바 있는

다카하시 나루미/ 멜빈 트란 팀도 이곳에서 훈련했었죠.



토론토의 크리켓 스케이팅 클럽에서도

페어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는데요.

김연아 선수가 훈련했던 이 링크는 페어는 다소 생소합니다.


무어-타워스와 결별한 딜란 모스코비치가 

러시아 출신의 루보프 일루셰키나

팀을 이루어 훈련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


이상으로 일본, 북미의 페어 훈련 환경에 대해 마치고.


3편에서는 피겨 페어 강국

러시아, 중국 그리고 유럽 팀들의 훈련지를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페어 스케이터 육성 특집 (3) 해외 훈련지- 러시아, 중국, 유럽

+ Recent posts